드디어 국내에서도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
‘디지털자산기본법’의 핵심 내용과 수혜주 리스트 한눈에!!
2025년 6월,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중요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어요.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산연동형 디지털자산, 일명 스테이블코인의 발행과 거래를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하면서, 법제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법안의 핵심 내용부터 시장에 미칠 영향, 수혜 기업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법안 해석 및 주요 내용
이번 디지털자산기본법에는 가상자산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내용들이 포함돼 있어요. 먼저, 가상자산의 종류와 구분 기준, 책임 주체, 불공정 거래 방지 등의 규정이 정리되었고, 기존보다 투자자의 권익을 강화하는 장치들이 마련됐어요.
매매업, 중개업, 보관업에 한해 신용공여가 허용되어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해지며, 시장 유동성 증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이 허용되며, 법적으로 환불금 보호, 도산절연 장치(기업 자산과 준비금 분리), 1:1 환불 의무 등 투자자 안전장치가 강해졌어요. 발행 주체는 5억 원 이상의 자기자본을 갖춘 국내 법인이면 가능해져서 다양한 기업 참여가 예상됩니다.
📊 시장에 무엇을 미칠까?
이번 법안이 통과되면 국내 핀테크 및 블록체인 업계의 성장 모멘텀이 될 수 있어요.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고정되어 있어 실생활 결제에 유용하고, 전자결제나 디파이(DeFi)와도 잘 어울려요. 따라서 다양한 금융·기술 기업들이 생태계에 뛰어들 가능성이 크답니다.
또한, 가상자산 시장에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면서 기관투자자들의 진입장벽도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시장 신뢰도가 높아지고, 건전한 성장이 가능해지는 거죠.
🏛️ 정부와 한국은행의 입장 차이
정부와 한국은행 간의 의견차도 존재합니다. 민주당은 "민간 혁신 기업의 참여를 늘리자"는 입장인 반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은행 중심의 발행 허용이 더 바람직하다고 밝혔어요.
한국은행은 스테이블코인을 무분별하게 허용할 경우, 통화정책 유효성 저하와 코인런(투매) 발생 시 실물경제 충격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논의의 속도는 빨라지고 있어요.
📈 수혜 가능 관련주
이번 법안으로 인해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관련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어요.
기업명 | 주요 사업/역할 | 관련성 요약 |
---|---|---|
위메이드 | WEMIX$ 발행, NFT/DeFi 운영 | 직접 스테이블코인 발행 |
한국정보인증 | DID, 전자서명, 블록체인 보안 | 보안 인프라 제공 |
다날 / 다날핀테크 | 페이코인 운영 | 암호화폐 기반 결제 |
케이씨티 / 케이씨에스 / 한네트 | 금융단말기 제조 | 결제 인프라 구축 |
아톤 | 핀테크 보안솔루션 | 인증 기술 제공 |
카카오(그라운드X) | 클레이튼 운영 | 플랫폼 기반 확장성 |
갤럭시아머니트리 / NHN KCP | 간편결제, 블록체인 결제 | 결제+코인 접점 |
우리기술투자 / 한화투자증권 | 두나무 주요 주주 | 업비트 관련 간접 수혜 |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아직 초기지만, 제도권 진입이 확정되면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해요. 투자자 입장에서는 발행 주체, 실사용처, 환불 가능성 등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겠죠.
📝 마무리
지금은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본격적으로 커질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제도화 움직임을 주의 깊게 살피고, 수혜 가능성이 있는 기업과 산업의 흐름을 선제적으로 분석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